https://malaysia-life.tistory.com/googleda2e2cfdeffc91a7.html 말레이시아 이주기(중국계 공립학교 입학하기 2008.05.08)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이주기

카테고리 없음

말레이시아 이주기(중국계 공립학교 입학하기 2008.05.08)

진두-볼레리 2022. 12. 29. 09:34

말레이시아 중국계 공립학교 입학하기

 

며칠 전 작은 아이 공립학교 입학 서류를 쿠안탄 교육청에 제출했습니다. 교육청의 승인이 나야 입학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 승인은 쿠안탄 교육청에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중앙 교육청이 있는 쿠알라룸푸르에서 합니다. 중앙 교육청에서 승인이 떨어지면 그 서류가 쿠안탄으로 내려올 것이고, 그러면 나는 그 서류를 받아 해당 학교에 제출하면 입학이 가능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전에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습니다. 가고자 하는 공립학교 교장의 허락의사가 든 서류에 사인을 받아야 합니다. 학교장은 아이가 수업을 제대로 받을 수 있는지, 과정을 따라올 수 있는지 여부 등을 따져 가부를 결정할 것입니다. 그래서 나는 며칠 전에 쿠안탄에 있는 '페이차이' 공립학교를 방문하였고, 교장 선생님을 만나 의사를 전달했습니다. 50대 중반의 중국인 교장선생님은 걸걸할 목소리를 가진 호의적인 분이었습니다. 어설픈 영어로 아이를 입학시키고 싶다는 의사를 전달했습니다. 다행히도 교장선생님의 긍정적이었습니다. 그리고 기꺼이 사인을 해주었고, 어려운 일이 있으면 연락하라며 전화번호까지 주었습니다. 

 

중국계 공립학교에서는 중국어로 공부합니다. 과목에는 영어와 말레이어 수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리고도 다양한 수업이 진행됩니다. 우리나라와 다른 점은 체벌이 공식적으로 있다는 것입니다. 쿠안탄학교에 교장사인을 받으러 갔다가 열린 문으로 수업하는 것을 보았는데 대여섯 명이 교단 쪽으로 불려 나와 회초리로 손바닥을 맞고 있었습니다. 회초리에서는 바람을 가르는 소리가 휙휙 하고 났습니다. 고학년 아이들이라서 울지는 않았지만 정말 아프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한국 아이가 말레이시아 공립학교를 가기위해서는 반드시 비자가 있어야 합니다. 워퍼크밋이나 세컨드홈 등 부모 중 한 명이 비자를 가지고 있으면 공립학교에 갈 수 있습니다. 물론 학교와 교육청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절차가 남아 있지만 기본적으로 비자가 있어야만 합니다. 

 

입학하려는 아이가 1학년 정도면 괜찮은데, 이미 초등학교 3~4학 년이 넘으면 학교에서도 난색을 보입니다. 중국어가 수업 듣기에 부족함이 없다면 괜찮지만 중국어를 하나도 못하면 학교에서도 받아줄지 아닐지 알 수 없습니다. 아이가 조금 크면 국제학교 보내라고 말합니다. 그래서 큰 아이는 선택의 여지가 없어 국제학교에 보냈습니다. 작은 아이는 9살, 우리나라 초등학교 2학 년이었기에 받아주었던 것입니다. 

 

중국계 공립학교 입학 절차

-부모의 비자

-해당 학교 학교장 허락

-지역 교육청 접수

-교육부 승인

-승인서 해당학교 제출

 

위와 같은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모든 서류는 말레이어로 되어 있습니다. 때문에 현지인 한 두명 친구를 사귀어 놓으면 크게 도움이 됩니다.  

 

중국계-공립학교
중국계-공립학교 학생들, 말레이시아는 교복을 입는다.

 

 

2022년 12월 현재 말레이시아는

*위의 절차는 2008년도입니다. 지금도 위와 같이 진행될지는 모르겠습니다. 

*입학 한다고 다 졸업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아들은 쿠안탄이라는 작은 도시에 입학을 했기 때문에 외국 아이들이 거의 없었습니다. 입학시킬 때 선생님들이 말하길, 이전에도 일본과 한국 학생이 입학했었는데 졸업 못하고 중간에 그만두었다고 합니다. 중국어 따라가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며, 체벌과 숙제의 부담을 이겨내지 못했기 때문이랍니다. 숙제를 매우 많이 냅니다. 못해가면 손바닥을 맞는 것입니다. 

*아들은 힘들어 했고 좋지 않은 성적이었지만 졸업은 하였습니다. 나중에 중국어를 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자부심이 되었습니다.